광주 역사민속박물관 "조선시대 사회문화의 숨결을 찾아서..."
상태바
광주 역사민속박물관 "조선시대 사회문화의 숨결을 찾아서..."
  • 정성환 기자
  • 승인 2022.02.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장로, 김덕령 장군의 시호를 딴 그의 충절을 기리는 도로 명
고경명, 문인이자 의병장 시호 충렬...포충사 신위 모시고 충절 기려
눌재 박상, 의로운 실천 사상 광주정신의 뿌리...송호영당에 배향

[투데이광주전남/정성환의 문화역사이야기25] 정성환 기자 = 이번 문화역사이야기는 광주전남 민속문화의 숨결을 찾아서...제4편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조선시대 사회문화 이야기다.

광주 역사민속박물관 이야기는 △1편 민속전시실(전라도의 생활환경) △2편 민속전시실(전라도의 사회문화) △3편 근·현대 역사전시실(광주읍성) △4편 근·현대 역사전시실(조선시대 사회문화) △5편 근·현대 역사전시실(일제강점기 충장로와 금남로)로 연재 중이다.

광주 역사민속박물관 [사진=정성환 기자]
광주 역사민속박물관 [사진=정성환 기자]

◆ 과거와 현재의 숨결을 간직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제4편 조선시대 사회문화 이야기'

△ 조선시대 ‘광산관’에서 열린 과거시험

조선시대에는 시험 감독관을 지방에 보내 과거시험을 열기도 했는데 시험장소로 자주 사용된 것이 객사였다.

1798년 정조 임금은 호남지역 인재 발굴을 위해 전라도 유생을 대상으로 광주에서 시험을 치르도록 했다. 이에 따라 광주 객사(옛, 무등극장 일대) 앞뜰에서 유생들이 모여 사흘간 시험을 치르고 최종합격자 53명이 선발되었다고 한다.

이 과거시험에서 고경명의 후손인 고정봉은 56세의 고령에 합격하여 전라 감사를 보좌하는 전라도 도사(종5품)로 부임했다.

△ 과거시험 답안지

과거급제자 고정봉 답안지(3중, 2중, 3하는 점수/1지,7지,8지는 수험번호)/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과거급제자 고정봉 답안지(3중, 2중, 3하는 점수/1지,7지,8지는 수험번호)/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시험지에 붉게 쓴 2하(二下), 3중(三中), 3하(三下)는 평가점수를 뜻한다.

당시 채점 방식은 1·2·3등급으로 나누고 다시 上·中·下로 등급을 분류했다.

중간중간 붉은 점은 채점관이 채점하면서 찍은 점이다.

일지(一地)·칠지(七地)·팔천(八天)은 일종의 수험번호이다.

어고(御考)라는 뜻은 임금이 답안지를 확인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 어사화

어사화(御賜花)/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어사화(御賜花)/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전시된 어사화는 회재 박광옥의 후손인 박종언이 영조 30년(1754년) 문과에 급제하고 받은 것이다.

어사화는 문과와 무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임금이 하사한 종이꽃으로 급제자는 합격자 발표 때 합격 증서인 홍패(紅牌), 햇빛가리개인 개(蓋)와 함께 어사화를 받아 ‘복두’라는 ‘관’에 꽂고 3일 동안 거리행진을 하는 특전을 누렸다고 한다.

△ 죽첨경서통(竹籤經書筒)

죽첨경서통(竹籤經書筒)/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죽첨경서통(竹籤經書筒)/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죽첨경서통’은 조선 시대 과거시험 때 사서오경의 내용을 암송하는 배강(背講) 연습을 위해 사용하던 용품이라고 한다.

종이통 안의 사서오경의 구절을 적은 죽첨(竹籤)를 뽑은 사람은 그 구절의 내용 전부를 암송했다고 한다.

죽첨마다 천 개 정도의 글씨가 적혀 있었다고 하며 하루에 300자씩 암송해도 4년 반이 걸렸다고 한다.

시험을 치르는 방법은 시험 감독관이 경전의 글귀를 질문하면 그다음 문장을 암송하고 그 의미를 답하는 것으로 그 과목을 강경(講經)이라고 했다.

얼마나 잘 암송했는지에 따라 다섯 등급으로 나눠 성적을 냈다고 한다.

△ 서판

서판(書板)/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서판(書板)/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이 ‘서판’은 칠판의 개념으로 만든 것으로 종이가 귀하던 시절 붓으로 쓰고 닦고 하면서 글씨를 연습하는 데 사용했다.

과거시험에서는 글씨를 잘 쓰는 것도 중요했으므로 수험생은 틈나는 대로 글씨 연습을 했다고 한다.

△ 어고방목(御考榜目)

어고 방목(御考榜目)/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어고 방목(御考榜目)/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어고방목’은 28m에 달하는 과거시험 합격자 명단이고, 앞에 ‘어고’라는 수식어가 붙은 것은 임금이 명단을 검토했다는 뜻이라고 한다.

이 ‘어고방목’은 1798년(정조 22) 광주에서 3일 동안 실시한 과거시험에 합격한 53명의 합격자 명단이다.

이 방목은 먼저 응시자격을 밝힌 다음에 과목별 석차와 종합 석차를 나눠 소개하고 있다.

△ 정지 장군 갑옷

정지 장군 갑옷 (보물 제336호)/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정지 장군 갑옷 (보물 제336호)/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정지 장군의 갑옷은 철판과 원형 쇠고리를 연결하여 만든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고려 말 경번갑(鏡幡甲, 갑옷)으로 후손들에 의해 전해져 내려온 것으로 의병장 김덕령 장군이 임진왜란 때 입었다고 전한다.

1963년 보물 제336호로 지정되어 현재 광주 역사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전시되고 있다.

‘정지’ 장군은 1347년(고려 충목황 3) 나주 문평면 출신으로 본관은 하동이다.

공민왕 때 수군을 창설하여 남해 관음포 해전에서 최무선이 개발한 화포를 이용해 왜구를 대파했다. 관음포 해전이 있었던 곳은 200년 후인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노량해전에서 대승을 거두고 순절한 장소이기도 하다.

그는 이성계를 도와 위화도 회군에 동참했지만, 윤이·이초 사건에 연루돼 청주 감옥에서 옥고를 치르는 중 큰 홍수가 일어나 풀려나자 광주로 낙향해 은거 중 4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게 된다.

현재 광주 무등산 자락 청옥동에는 정지 장군을 배향한 사우 ‘경렬사’와 ‘정지 장군 예장석묘’가 있다.

광주광역시는 광주역에서 농성광장에 이르는 도로명을 ‘경열로’로 명명하여 그 정신을 기리고 있으며, 해군에서도 정지 장군의 이름을 딴 1,800톤급 잠수함 ‘정지함’이 있어 그의 충절을 기리고 있다.

△ 의병장 김덕령 장군

충장공 김덕령 장군의 추증교지/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충장공 김덕령 장군의 추증교지/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어제치제문 편액/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어제치제문 편액/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김충장공유사/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김충장공유사/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김덕령 장군은 선조 때의 의병장으로 활약하다가 이몽학의 난에 연루돼 억울한 누명을 쓰고 옥사했다.

현종 때 신원(伸冤) 되고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광주 충장사에 배향됐으며 ‘충장로’는 김덕령 장군의 시호를 따서 그의 충절을 기리는 도로명이다.

「추증교지」는 김덕령 장군에게 벼슬을 내리고 충장(忠壯)이란 시호를 내린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어제치제문(御製致祭文)은 정조 임금의 불천위(不遷位)를 명한 것을 제문으로 새긴 것이다.

김충장공유사(金忠壯公遺事)는 의병장 김덕령 장군의 행록과 시문을 기록한 책으로 1694년(숙종 20 ) 편찬되었고 정조 임금의 명으로 다시 간행되었으며 임진왜란 의병사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 제봉 고경명 선생

고경명 선생 좌우명/세독충정 [사진=정성환 기자]
고경명 선생 좌우명/세독충정 [사진=정성환 기자]
고경명 선생의 「제봉수초격문」/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1호 [사진=정성환 기자]
고경명 선생의 「제봉수초격문」/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1호 [사진=정성환 기자]

제봉 고경명 선생은 조선 중기 선조 때의 문인이자 의병장이다.

임진왜란 때 호남을 지키기 위한 금산전투에서 아들 고인후와 함께 순절했다.

좌찬성에 추증되고 시호는 충렬이다.

광주 포충사에 신위를 모시고 그의 충절을 기리고 있다.

세독충정(世篤忠貞)은 서경(書經)에 나온 말로 그의 좌우명이며 가훈이다.

대대로 독실하게 충정을 다하는 것으로 “인간이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 나라에 충성하고 항상 올바른 마음을 굳게 지녀야 한다”는 뜻이다.

「제봉수초격문」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고경명이 일본군에 맞서 궐기할 것을 호소하며 쓴 격문이다.

△ 눌재 박상

눌재집/눌재집 목판/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호 [사진=정성환 기자]
눌재집/눌재집 목판/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호 [사진=정성환 기자]
청복고비신씨소(신비복위소)/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청복고비신씨소(신비복위소)/전시실 [사진=정성환 기자]

눌재 박상은 연산군~중종 때의 문신으로서 심성은 곧았으며 옳고 그름을 분명히 하여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고 정의를 세우고자 했던 선비였다.

그의 의로운 인물임을 보여준 ‘우부리장살사건’과 ‘신씨복위상소’에서 그가 얼마나 정의롭고 의리 정신이 투철했는지 알 수 있다.

'우부리장살사건'은 연산군 후궁의 아비인 ‘우부리’가 딸의 권세를 업고 남의 재산을 빼앗고 아녀자를 겁탈하는 등 온갖 악행을 저질러 백성들의 원성을 샀지만, 후환이 두려워 아무도 그를 처벌하지 못했다.

이에 박상은 전라도 도사를 자청해 부임하여 우부리를 잡아들여 국법을 어긴 죄를 물어 곤장을 쳐서 죽인 사건이다.

연산군은 이 사실을 듣고 사약을 내렸으나 중종반정이 일어나 박상은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

'신씨복위소'사건은 중종반정으로 폐위된 단경왕후 신 씨의 원통함을 풀어 복위시키고, 신 씨의 폐위를 주장한 반정공신들을 처벌하라는 내용으로 중종반정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것으로 살아있는 권력에 대해 목숨을 건 의로운 행동이었다.

눌재 박상의 의로운 실천 사상은 광주정신의 뿌리로써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으며
광산구 소촌동 ‘송호영당’에 조카 박순과 함께 배향되어 그의 절의 정신을 기리고 있다.


최신 HOT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